TechFin.
[사진 출처: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80219000539]
#1.Summary.
일단 최근 금융서비스 시장에서 트렌드가 핀테크에서 테크핀으로 바뀌고 있다는 것이 정설이라서 공부해본다. 같이 핀테크를 공부하는 입장에서 핀테크와 관련해서 테크핀이라는 또 다른 개념을 알게 되었기에 수준은 높지 않지만 설명해보겠다. 관련 개념인 P2P(Peer to Peer),ICT 등 많은 개념들은 다른 글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2.What is TechFin?
테크핀(TechFin)은 기술(Technology)와 금융(Finance)의 합성어로서 핀테크(Finance + Technology)을 거꾸로 한 신종 합성어이다.
간단히 말해 금융서비스에 IT 기술을 접목한 게 핀테크라고 하면 IT기술에 금융서비스를 접목한 것을 테크핀이라고 한다. 처음에는 무슨 말장난인가 싶을 정도로 무슨 차이점이 있을까라는 의문도 들기도 했는데 차근차근 살펴보겠다.전통적인 금융을 기반으로 기술을 활용한 것을 우리는 핀테크라고 알고 있고,테크핀은 기술을 기반으로 시작해 기존 금융 서비스의 한계를 넘었다고 불리운다.
#3.Differences between FinTech and TechFin.
언뜻 보면 말장난 같은 두 개념의 가장 큰 차이는 첫번째로 사업의 주도권을 누가 가지고 있느냐의 차이다.즉 주도권을 금융회사 or ICT 기업을 가지고 있느냐의 문제다.공통적으로 두 개념 다 모두 IT 기술이 합쳐진 금융서비스를 의미하지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가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인지, ICT 기업인지에 따라 서비스의 범위 및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두번째로 중개기관의 존재다.일반적으로 중간자 역할을 하는 사람이 있으면 중개 수수료가 붙는 게 당연한 것(Ex..공인중개사)처럼 우리도 금융서비스를 사용하면서 중개 비용을 지불해야만 한다.테크핀은 이러한 전통적 금융기관들과 달리 비대면 거래(Non-face-to-face transaction)가 핵심이다.그렇기에 중개 비용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4.What I Want To Say.
#4-1 테크핀은 오프라인에서의 행동이 아니라 오직 온라인에서만 모든 것이 활동이 이루어지는 디지털 금융 서비스,즉 Digital Only Financial Service라고 할 수 있다.간단한 예로 우리가 흔히 사용하고 있는 카카오뱅크,토스(Toss)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물론 은행만이 아니라 대출 전문 금융 업체에서도 테크핀을 이용하고 있고 간단한 예로 렌딧이 있다.
#4-2 최근 은행들이 IT 인력, 즉 디지털 관련 인력을 많이 뽑겠다는 것도 테크핀을 염두하고 있다는 것이다.결국은 금융 회사 vs IT 기업이기에 금융회사 스스로도 IT 기술 수준을 키워야 되기 때문이다.
#4-3 테크핀은 한마디로 오프라인 상의 거래 활동이 없기에 관련 비용을 줄이고 편의성을 높일 수 있어서 어떻게 보면 유리하고 온라인 상의 활동이기에 가능성은 무한하다.
CF)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정보통신기술을 의미하고 즉, 정보가 담긴 기기와 이를 운영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술를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생산,가공,보존,전달,활용하는 모든 방법을 의미한다.
'#Fin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corn Worldwide List. (0) | 2018.11.14 |
---|---|
Unicorn. (0) | 2018.11.13 |
Uber Moment. (0) | 2018.11.13 |
Mobile Easy Payment. (0) | 2018.07.25 |
FinTech. (0) | 2018.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