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Windows에서 VMware의 Ubuntu에 SSH로 접속하는 법을 알아보겠다.
위 화면이 기본 화면이다.
우선 우분투에 SSH가 깔려 있는지 확인해본다.
sudo dpkg -l | grep ssh
아니면 ssh 리스너가 존재하는 지 확인해봐야 된다.
sudo netstat -lntp
안 보일수도 있어서 캡쳐 크기를 크게 했다.
이 노트북은 현재 ssh패키지도 설치 안 되어 있고, ssh가 안 깔려 있어서 22포트에 리스너가 없는 상태.
아래의 명령어를 써서 ssh를 설치. 그 후 다시 패키지 확인.
sudo apt-get install ssh
sudo dpkg -l | grep ssh
openssh-server, ssh, ssh-import-id 즉 3개의 패키지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netstat -lntp
리스너를 확인해본 결과 : : : 22로 sshd가 리스너 동작 중인 것을 확인 가능하다.
이제 xshell등의 터미널을 통해서 ssh로 우분투에 접속이 가능하다.
ifconfig 를 통해 우분투의 ip 주소를 확인한 다음에 접속해보자.
접속이 잘 되는 것을 확인 가능하다.
Xshell를 활용한 화면.
반응형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Function Prologue & Epilogue. (0) | 2018.04.06 |
---|---|
Gdb basic command. (0) | 2018.04.05 |
Cpu and assembly language. (0) | 2018.03.27 |
C language introduction. (0) | 2018.03.27 |
The overall meaning of hacking. (0) | 2018.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