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Intro.
중간중간에 나오는 개념이라던지 용어들보다 한 번 테스팅을 해보고 그 다음 찾아가는 게 더 좋은 듯.
VPC, Internet Gateway까지 생성 되었다는 가정하에 다음은 각각의 서브네팅과 라우팅을 통해 어떤 네트워크 대역이 인터넷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친구인지, 어떤 네트워크가 Private하게 하여 접근이 안 되게 하는지 설정.
#2.Main.
a.검색장에 subnet 입력.
b.아래와 같이 보일 것이고 Create Subnet 클릭.
c.서브넷을 만들 건데 하나하나 보도록 한다. 일단 Public subnet 2개 생성. VPC는 기존에 생성해놓은 것으로 연결.
d. 아래와 같이 subnet 생성된 거 확인 가능.
e.처음에 말했던대로 subnet 생성하면 아래처럼 확인 가능.
3.Summary.
서브넷까지 구성을 해봤고, 다음 글에선 NAT gateway 구성에 관해서 언급하겠다.
반응형
'#AWS > #3-Ti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 AWS 3-Tier Architecture Intro. (0) | 2023.08.24 |
---|---|
#16. AWS 3-Tier Architecture Routing. (0) | 2023.08.24 |
#17. AWS 3-Tier Architecture EC2. (0) | 2023.08.24 |
#12. AWS 3-Tier Architecture VPC. (0) | 2023.08.24 |
#13. AWS 3-Tier Architecture Internet Gateway. (0) | 2023.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