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D Commands.
#1.Summary.
별 건 없고 사용하면서 이건 좀 알았으면 개인적으로 좋겠다고 느낀 것들 위주로 설명하겠다.명령어는 Linux 계열과 동일해서 Linux 명령어를 잘 아시는 분은 100% 이 글을 안 보셔도 된다.
#2.CMD.
명령어의 영어 단어인 Command의 준말로 Window 계열의 OS에서 명령줄 해석기로 쓰인다.명령 프롬포트 실행파일 이름은 cmd.exe다.일단 CLI(Command Line Interface)기반이고 상대되는 개념은 GUI(Graphic User Interface)이다.사용자의 입력을 대기하는 커서가 있고 항상 경로를 나타낸다.따로 경로나 유저 이름을 변경 or 설정하지 않았으면 C:\Users\Administrator>로 되어있을 것이다.CMD 명령어는 '/'로 옵션을 주고 윈도우는 대소문자를 구별하지 않는다.(Ex.qwer.txt 파일이 있으면 QWER.txt를 못 만든다).
CF) 인터페이스(Interface)는 간단히 말해 사용자가 마주하는 환경을 말한다.
#3.Execution Method.
실행 방법은 아주 쉽다.시작 => 실행 => cmd....끝.
실행 방법이라고 할 것도 없는 게 시작 => 실행을 누르면 위의 화면처럼 이미 cmd가 입력되어 있어서 엔터 키 or 확인만 누르면 된다.
바로 위 화면처럼 뜨면 정상적으로 실행된 것.
#4.What I Want To Say.
#4.1. dir ==> 현재 경로에 있는 파일 및 디렉토리를 나열(directory)
/p ==> 출력할 내용이 많으면, 한 페이지씩 나누어준다.
/b ==> 파일명만 출력한다.
#4.2. cd ==> 현재 경로를 바꿀 때 사용. (change directory)
.. ==> 상위폴더
. ==> 현재폴더
\ ==> 하위폴더
#4.3. [프로그램] [파일명] ==> 프로그램에서 파일을 연다. [프로그램] ==> 프로그램만 실행한다.
1. 시스템 환경변수(path)에 저장된 프로그램.
2. windows\system32에 저장된 프로그램.
- 1과 2는 경로 없이 실행됨.
#4.4. ipconfig ==> 해당 컴퓨터의 IP와 관련된 설정을 띄운다.
#4.5. nslookup ==> 해당 사이트의 ip주소를 반환해준다.
#4.6. netstat -ano ==> 현재 사용중인 포트번호를 반환해준다. (해당 포트의 PID를 통해 작업관리자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다.)
#4.7. tasklist /SVC /fi "PID eq [PID]" ==> PID번호를 할당 받은 프로그램 찾기.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vert Curl Commands. (0) | 2023.01.19 |
---|---|
Knowledge Sharing Platform Site. (0) | 2018.07.26 |
How to build 32 bit binary in 64 bit ubuntu. (0) | 2018.06.11 |
Inbound and Outbound. (0) | 2018.06.04 |
Create NC Server For CTF Pwn Problem. (0) | 2018.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