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d Bitcoin Content.
#1.Summary.
비트코인에 대해 이미 언급을 했지만 좀 더 언급하고 싶어서 글을 썼다.
#2.Keep in mind.
비트코인은 분산화된 암호화 화폐이자 결제 시스템.
#3.Decentralization.
비트코인은 중앙은행 같이 신뢰받는 제 3자, 즉 TTP(Trusted Third Party)가 아닌 특정 프로토콜을 따르는 분산화된 컴퓨터 네트워크에 의해 발행되고,그 거래가 검증되면 전반적인 시스템의 안정성이 확보된다.일단 수수료가 상당히 저렴하다.예를 들어 외국어 노동자가 자국으로 돈을 보낼 때 중앙신뢰기관(Ex..은행)을 거쳐서 가면 수수료가 30%정도 된다.비트코인으로 보내면 가격이 저렴해지고 수수료가 중앙신뢰기관을 거치는 것보다 휠씬 저렴하고 시간도 단축된다.이유는 분산화가 되어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4.Encryption.
비트코인은 암호학적 원리에 기반하여 거래를 안전하게 체결하며 이를 장부에 기록한다.구체적으로 ECDSA(Elliptic Curve Digital Signature Algorithm)를 사용하여 거래에 대한 검증과 인증을 수행하며 HashCash(SHA-256)를 사용한 작업 증명(POW = Proof Of Work)을 통해 블록체인의 동기화에 필수적인 연산 작업의 양을 측정 및 검증한다. 참고로 ECDSA는 공인인증서의 핵심 기술이고 나중에 언급해보겠다.
#5.Money.
비트코인은 다른 화폐와 마찬가지로 거래의 수단,즉 Medium Of Exchange.
당연히 비트코인도 화폐이기 때문에 일반 화폐와 같이 거래소가 존재한다.한국에는 약 3개의 큰 거래소가 존재한다.요즘 일반 화폐는 인플레이션 화폐라고 한다.비트코인은 발행량이 정해져 있기에 디플레이션 화폐라고 볼 수 있다.일단 공급이 2140년까지 약 2100만개로 설정되어 있고 바꿀 수가 없다.기존 일반 화폐와는 다른 개념이기에 경제적으로도 새로운 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다.
#6.Payment System.
비트코인은 화폐인 동시에 카드(Visa)와 같은 결제 시스템이다.즉 거래를 안전하게 처리한다.비트코인은 화폐적 측면과 결제 시스템적 측면으로 볼 수 있다.채굴을 통해 화폐적 측면과 결제 시스템적 측면을 뗄 수가 없는 관계가 되었다.물론 요새 뗄 려는 시도와 채굴 방식을 바꿀려는 등 변화를 추구하는 움직임이 보이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뗄 수는 없다.
#7.What I want to say.
#7-1 비트코인을 사용할 때 상대방의 정보가 하나도 없는 익명의 사람과도 신뢰하고 거래가 가능하다.암호학적 특성을 통해 돈을 주고 받을 수 있다.당연히 비트코인은 분산화 되어 있기에 비용도 절감할 수 있고 효율성이 증가한다.무슨 말이냐면 전 세계 인구가 60억명이라고 할 때 40억명이 중앙신뢰기관인 은행의 계좌가 없다.그런데 은행의 계좌가 없는 사람보다 2G폰이여도 인터넷이 되는 휴대폰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더 많다.
#7-2 비트코인은 해킹이 불가능하다.100%라는 건 없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하지만 SHA-256은 미국 국방부에서 인정한 보안 프로그램이니까 안전하다고 볼 수 있다.
#7-3 국가 대 국가 초월해서 거래 가능하다.인터넷만 있으면 전 세계 어디에 있는 누구랑도 거래가 가능하다.동남아시아 국가들이 요새 비트코인에 대해 긍정적으로 바뀌고 있다.중앙신뢰기관을 거쳐서 송금할 때는 수수료가 너무 많이 들었는데 비트코인은 수수료가 상당히 적어서 좋다.참고로 수수료는 액수에 비례한 게 아니라 금액이 정해져 있다.
#7-4 현재 금이 어떻게 보면 안전 자산이라고 많이들 하는데, 즉 가격이 유동적으로 변할 수는 있지만 많은 부호들이 금을 가지고 있는데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그렇듯이 비트코인을 디지털 금이라고도 볼 수 있다.물론 금은 화폐라고 볼 수 있고,결제 시스템은 카드(Visa)라고 보면 된다.비트코인이 점차 보편화된다면 화폐 + 은행을 대체할 것이다.위에서 말했지만 기존이 없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것이다.
'#Virtual Currency & BlockCh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itcoin Related Sites. (0) | 2018.07.20 |
---|---|
ECDSA Source Code. (0) | 2018.07.20 |
Public and Private keys. (0) | 2018.07.19 |
51% Attack. (0) | 2018.07.13 |
Categorization Of Cryptography. (0) | 2018.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