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inux vi editor.
1.Vi editor.
==> vi editor는 리눅스를 비롯한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텍스트 파일 편집 프로그램.
2.The operating mode of the linux vi editor.
==>vi 편집기는 기본적으로 3가지의 기본 운영 모드를 가지고 있다.
==>명령어, 편집, 마지막 줄 모드.
3.Command mode.
==> 명령어 모드는 vi 편집기에 기본 모드. 글자를 지우고, 바꾸고, 복사하고 이동할 수 있다.
==> 또한 커서의 위치, 문자열 검색, vi 편집기를 빠져나가는 작업을 한다.
4.Edit mode.
==> 편집 모드는 사용자가 실제로 키보드로 입력한 텍스트가 파일로 들어간다.
==> i - 커서 앞에 텍스트 입력.
==> o - 커서 아래 한 줄의 빈 공간을 만들어 입력.
==> a - 커서 위에 텍스트를 입력.
5.Last line mode.
==> 더 나은 편집 명령어를 사용하게 한다. 즉 줄 모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 명령어 모드 상태에서 클론(:)을 입력. 그러면 클론이 화면의 제일 마지막 줄에 위치.
6. How to switch between command mode and edit mode.
==> vi 편집기의 기본 모드는 일단 명령어 모드. i,o,a 명령어일 때 vi 편집기는 편집 모드로 전환.
==> 파일의 편집이 끝났을 때 Esc를 누르면 편집 모드에서 다시 명령어 모드로 전환이 된다.
==> 명령어 모드에서 vi 편집기의 파일을 저장하고 나갈 수 있다.
7.Practice the vi editor.
==> vi filename을 입력해서 파일을 생성 => 자동으로 명령어 모드.
==> i키를 누르면 왼쪽 하단에 --INSERT-- 가 보인다.
==> 텍스트를 입력.
==> 텍스트 입력이 완료되었으면, esc를 눌러서 명렁어 모드로 바꾼다.
==> :wq를 입력해서 파일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vi 편집기를 빠져나온다.
# vi file > i ---------------------------- hello vi ---------------------------- > Esc :wq # cat file hello vi
8. Text input and additional commands.
==>vi 편집기에서 텍스트를 입력하고 추가하는 명령어.
==>편집 모드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편집 모드에서 명령어 모드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ESC를 누른다.
9. Delete text command.
==>vi 편집기에서 텍스트를 삭제하는 명령어.
10.Change text command.
==>vi 편집기에서 텍스트를 변경하고, 변경을 되돌리고, 편집 기능을 다시 실행하는 명령어.
11.Text substitution instruction.
==>vi 편집기에서 텍스트를 검색하고 바꾸는 명령어.
12. Save file, exit command.
13.Edit Session Customizing command.
==>vi 세션을 사용자의 요구대로 설정할 수 있다. vi 변수를 설정할 때 기본적으로 활성화
==>되지 않는 특징을 가능하게 한다. 변수에 대해서 활성화와 비활성화는 Set 명령어를 사용.
'#Programming Language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How to use the Linux extended command. (0) | 2018.04.09 |
---|---|
Linux Manual Show Special Value Settings. (0) | 2018.04.09 |
Linux directory, file copy, delete. (0) | 2018.04.09 |
Linux directory, move and replace files (0) | 2018.04.09 |
Linux directory, file creation. (0) | 2018.04.09 |